2016년 자료이지만 크게 달라졌을 것 같지 않은 일이라 많은 생각이 드네요.

자녀와 따로 살고 싶지만 여건이 어려워서 같이 산다는 응답이 특히 더 아픕니다.

따로 또 같이 사는 재미와 행복을 함께 공유하는 멋진 사회, 사회주택이 함께 합니다.

 

서울시 부모들, 노후에는 자녀와 따로 살기 원해

○ 서울시 60세 이상 가구주 36.5%가 자녀와 함께 거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녀와 따로 살아

– 서울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가구주 중 36.5%는 현재 자녀와 함께 살고 있다고 응답

–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60~64세(58.4%),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녀와 따로 사는 경향을 보여

○ 자녀와 함께 사는 이유 1순위는 자녀의 독립생활이 불가능, 절반 이상은 자녀를 지원하기 위해

– 자녀와 함께 사는 이유는 자녀의 독립생활이 불가능(49.0%)이 가장 큰 이유이고, 그다음은 독립생활이 가능하지만 같이 살고 싶어서(31.1%), 본인의 독립생활이 불가능(11.2%) 순

– 자녀와 함께 사는 이유 중 절반 이상이 자녀의 독립생활이 불가능(49.0%)하거나 손자·손녀의 양육(8.3%) 등 자녀를 지원하기 위해

–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이유는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31.1%)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그다음은 독립생활(수입, 건강 등)이 가능하므로(27.6%), 자녀에게 부담이 될까 봐(23.3%)를 선택

○ 정작 자녀와 함께 살고 싶어 하는 부모는 10명 중 2명에 불과

– 서울시 60세 이상 가구주 중 향후 자녀와 함께 살고 싶다고 응답한 가구주는 22.1%에 불과

– 현재 자녀와 같이 사는 가구주 10명 중 6명(60.6%)은 향후에 같이 살고 싶지 않다고 응답

출처 : 서울연구원 인포그래픽스
(데이터 자세히 보기 ☞ 클릭)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최종 글
공지 2024년 새해 인사말 - 이한솔 협회 이사장 2024.01.16 1278 조직국  
204 제53회 주거복지포럼 '주거,복지,서비스' 자료집 file 2019.04.01 378 이노베이터  
203 [공유]2019 임팩트팩토리 성장 프로그램 참여기업 공모 file 2019.04.01 266 사무국  
202 건축법 시행령 일부 개정 내용 요약 2019.03.25 255 사무국  
201 정보마당 2019.03.21 222 사무국  
200 강북구 인수동(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용 단독주택이 있어요 [1] 2019.03.11 438 산나물 2019.03.21 by 사무국
199 부산시, 광역시 최초 청년 주거안정 돕는 `월세 지원사업` 추진 2019.03.19 343 이노베이터  
198 고시원을 사회주택으로… '주거인권' 찾는다 2019.03.19 236 이노베이터  
197 유엔인권이사회, 강제퇴거 금지·전세제도 폐지 권고 2019.03.13 20464 이노베이터  
196 2019 주거영역 통합공모 ‘집에 가고 싶다’ 2019.03.17 232 사무국  
195 사무국 인트라넷 바로... 2019.03.12 171 사무국  
194 2019년 3차 이사회 회의록(3/6) file 2019.03.12 164 사무국  
193 2019년 2차 이사회 회의록(2/15) file 2019.03.12 165 사무국  
192 2019년 1차 이사회 회의록(1/18) file 2019.03.12 170 사무국  
191 캠코, 시흥 옛 필승아파트 청년임대주택 등 복합시설로 개발 2019.03.12 177 이노베이터  
190 2018 서울시 사회주택포럼 "서울시 사회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제언" file 2018.10.31 319 사무국  
189 정부 "재개발하려면 임대주택 더 내놔라" 2019.03.08 305 이노베이터  
188 지역 건설사 경성리츠, 민간 최초로 ‘사회주택 사업’ 참여 2019.03.06 233 이노베이터  
187 더함, D3에서 10억원 투자 유치 "사회적 부동산 모델 확산할 것" 2019.03.06 136 이노베이터  
186 주택금융공사, 소셜 주택저당증권 발행 2019.03.06 147 이노베이터  
185 전국 사회주택 2022년까지 매년 2000가구씩 공급 file 2019.02.20 167 이노베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