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19. 8. 6.] [국토교통부령 제641호, 2019. 8. 6., 일부개정]

【제정·개정이유】 제정·개정문보기     전체 제정·개정문보기

  • [일부개정]
    ◇ 개정이유
      소방관 진입창의 설치 근거를 마련하는 등의 내용으로 「건축법」이 개정(법률 제16380호, 2019. 4. 23. 공포, 10. 24. 시행)됨에 따라 소방관 진입창의 설치 기준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을 정하고,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를 건축물의 외부의 마감재료로 사용해야 하는 건축물에 3층 이상 5층 이하 또는 높이 9미터 이상 22미터 미만인 건축물을 추가하는 등의 내용으로 「건축법 시행령」이 개정(대통령령 제30030호, 2019. 8. 6. 공포, 2019. 11. 7. 및 2021. 11. 7. 시행)됨에 따라 건축물 외부의 마감재료 등 대통령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난시설 및 방화구획 등의 기준을 보완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ㆍ보완하려는 것임.

    ◇ 주요내용
      가. 직통계단 간 이격거리 기준 신설(안 제8조제2항)
        하나의 층에 2개소 이상의 직통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직통계단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출입구 간의 가장 가까운 직선거리 등은 건축물 평면의 최대 대각선 거리의 2분의 1 이상 등으로 하도록 하여 화재 시 원활한 피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함. 

      나. 방화문의 구조기준 강화(안 제9조제2항제1호바목, 같은 항 제3호자목 및 제14조제2항제1호)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 등에 설치하는 방화문의 경우 화재로 인한 연기, 온도, 불꽃 등을 가장 신속하게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 또는 불꽃의 감지가 먼저 이뤄지므로 방화구획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앞으로는 원칙적으로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설치하도록 함.

      다.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강화(안 제14조제1항제2호 본문, 안 제14조제1항제4호 신설)
        화재 시 연기의 수직 이동속도 등을 고려할 때 건축물의 1층 및 2층에서도 화염 및 연기의 확산을 차단할 필요가 있어 방화구획 대상에 1층과 2층을 추가하고, 필로티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조의 부분을 주차에 전용하는 경우 주차 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화염이 건축물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 1층을 피난층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 부분은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을 하도록 함.

      라. 방화댐퍼의 화재안전기준 개선(안 제14조제2항제3호)
        종전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방화댐퍼는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앞으로는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하도록 하되, 연기가 항상 발생하는 부분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닫히는 구조로 할 수 있도록 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비차열 성능 및 방연 성능 등의 기준에 적합하도록 함.

      마.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 기준 강화(안 제14조제3항 신설, 안 제26조)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생산공장의 품질 관리 상태를 확인한 결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적합하고,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비차열 1시간 이상 등의 내화성능을 확보했다고 인정한 것으로 하도록 함.

      바. 소방관 진입창의 기준(안 제18조의2 신설)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창의 설치기준을 2층 이상 11층 이하인 층에 각각 1개소 이상 설치하도록 하고, 창문의 가운데에 지름 20센티미터 이상의 역삼각형을 야간에도 알아볼 수 있도록 빛 반사 등으로 붉은색으로 표시할 것 등으로 정함.

      사. 외벽 방화 마감재료(안 제24조제5항부터 제7항까지)
        1) 「건축법 시행령」에서 외벽의 마감재료를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 해야 하는 건축물에 3층 이상 5층 이하 또는 높이 9미터 이상 22미터 미만인 건축물을 추가함에 따라 마감재료를 원칙적으로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하되,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 등에는 난연재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5층 이하이면서 높이 22미터 미만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난연재료 등으로 할 수 있도록 함.
        2) 「건축법 시행령」에서 외벽의 마감재료를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 해야 하는 건축물에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설치하여 주차장으로 쓰는 건축물을 추가함에 따라 필로티 구조로 외기(外氣)에 면하는 천장 및 벽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외벽 중 1층과 2층 부분에는 마감재료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하되, 마감재료를 구성하는 재료 전체를 하나로 보아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난연성능을 시험한 결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난연재료를 단열재로 할 수 있도록 함.
    <국토교통부 제공>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최종 글
공지 2024년 새해 인사말 - 이한솔 협회 이사장 2024.01.16 1278 조직국  
143 김승수 전주시장, 사회주택포럼서 주거복지 정책 소개 2018.11.23 139 이노베이터  
142 기획재정부의 국유재산 통합적 활용방안이 담긴 회의자료입니다(8/20) file 2019.08.23 212 사무국  
141 국토부의 사회임대주택... 2018.07.09 133 사무국  
140 국토부시범사업 '위스테이 지축', 젊은 중산층에 통했다 2020.01.22 1043 신아현  
139 국토부, 도시재생 청년창업자·사회적경제기업에 0.3% 특례보증 2019.04.17 192 이노베이터  
138 국토부, 건설 창업 아이디어·안전 관리 우수사례 찾는다 2018.08.17 214 사무국  
137 국토교통부, 주택 후분양하는 건설사에 공공택지 우선 공급 2018.08.09 300 이노베이터  
136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일부개정 고시내용 2019.01.10 2562 사무국  
135 공유와 연대 2019.05.20 250 사무국  
134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024.05.24 7 조직국  
133 공감과 정책 2019.05.20 165 사무국  
132 고시원을 사회주택으로… '주거인권' 찾는다 2019.03.19 236 이노베이터  
131 고시원 화재 현장 찾은 靑 시민사회수석…"사회주택 확충해야" 2018.11.13 131 이노베이터  
130 고방 “고시원에 셰어하우스 정보까지…” 2018.07.17 133 이노베이터  
129 경기행복주택 및 주상복합형 사회주택 민간참여 공공주택건설사업 사업자 공모 공고 [1] file 2018.12.20 301 이노베이터 2019.07.23 by 사무국
128 경기도시공사, 경기행복주택 및 사회주택 '민간사업자 모집' 2018.12.20 127 이노베이터  
127 건축법 시행령 일부 개정 내용 요약 2019.03.25 255 사무국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19. 8. 6.] 2019.08.06 1084 사무국  
125 거처없는 노인에 안심주택 제공…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 시작 2019.01.11 18103 이노베이터  
124 강북구 인수동(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용 단독주택이 있어요 [1] 2019.03.11 438 산나물 2019.03.21 by 사무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