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29일 정부는 공적임대주택 85만 가구 공급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주거복지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2년까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방공사 등 공공이 직접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약 65만 가구와 공공지원주택 20만 가구를 건설하겠다는 내용이 로드맵의 골자다. 공공지원주택이란 소유는 민간이 하되 공공의 지원을 받아 건설하는 대신 초기 임대료와 임대 기간, 입주 자격 등에 있어서 공공성을 확보하는 임대주택이다. 

한편 서울에 사는 1인 가구 청년층의 RIR(소득대비 주거비 지출 비율)는 30%를 넘어섰다(통계청 2015 가계동향). 100만 원 벌어서 30만 원을 주거비로 지출한다는 얘기다. 취업도 힘들고, 양질의 일자리 찾기도 쉽지 않은데 주거비 지출이 너무 많다 보니, 결혼과 출산은 더욱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들은 많은 경우 ‘지옥고(지하방·옥탑방·고시원)’에서 살고 있고, 전체 가구의 약 5.4%인 103만 가구가 최저 주거기준 미달 주택에서 살고 있는 실정이다.

청년들에게 보증금을 저리로 빌려주고, 월 임대료 부담을 크게 낮춘 양질의 주택을 제공해 준다면 청년들은 미래를 위한 준비를 시작할 수 있게 되고, 취업-결혼-출산의 지속가능한 사회적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더 늦기 전에 고령화와 일자리 부족, 인구절벽 문제 등을 해결하고 미래를 위해서 청년들의 주거복지에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

주거복지 로드맵 내용을 살펴보면 정부는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청년뿐 아니라, 신혼부부와 무주택자 등 주거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계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주거복지 로드맵은 현실의 문제를 잘 파악하고 있다고 본다. 양적 공급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실사구시적인 정책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싶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사회적 경제주체에 의한 임대주택 공급 내용이 주거복지 로드맵에 담겨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중앙 및 지방 정부에서 공공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임대주택 공급이 민간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 자산과 역량을 활용한 공급의 다각화로 진화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 비영리법인 등 사회적 경제주체에 의해 공급되는 사회주택은 민간임대주택에 비해 저렴한 임대료로 장기간 안정적인 거주가 가능하다. 민관협력에 의한 방식으로 공공성이 높으면서도 정부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소규모·맞춤형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나타나는 공공임대주택 관련 님비 현상도 극복할 수 있고, 공적임대주택의 공급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주거복지 선진국들의 사례를 보면 자가소유율을 높여 주거 불안 문제를 해소했다고 보기 어렵다. 자가소유율은 한국과 비슷하지만 세입자들이 마음 편히 살 수 있는 낮은 임대료, 안정된 거주 기간, 양질의 임대주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우리와 차이가 있다.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등의 국가에서는 사회주택이 이미 일반적인 주거 유형으로 자리잡고 있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도 서울시와 경기도, 전주시, 시흥시 등 지방정부 차원에서 이러한 공적지원 민간임대주택 정책을 시도하고 있고,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이번 주거복지 로드맵을 계기로 한때의 유행 같은 정책이 아니라 서민 주거안정이라는 본질적 가치를 위해 오랫동안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많은 국민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민간과 공공이 지혜와 힘을 하나로 모아 협력해 나가길 기대한다.

김종식 사회주택협회 이사장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80114/88164011/1#csidxdf6e941186c6acca32b22f78538f047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최종 글
공지 2024년 새해 인사말 - 이한솔 협회 이사장 2024.01.16 1280 조직국  
43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 [1] 2018.08.31 707 이노베이터 2022.05.10 by 사무국
42 [사회주택포커스] 함께 사는 사회주택, 함께 누리는 공간 _사회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프로그램 지원 사업 결과발표회 2019.02.28 712 사무국  
41 2018 사회주택포럼 자료집 내려받기 file 2018.11.21 727 사무국  
40 미국 사례로 살펴보는 공공임대주택 님비현상 극복방안 file 2019.02.28 731 사무국  
39 2018 서울시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사업공모 공고 file 2018.03.21 742 사무국  
38 2018년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공급사업 추가 공모 file 2018.07.25 755 이노베이터  
37 [서울시 4개년]'공공주택 24만·혁신형 8만가구'…'10분 동네' 마을재생사업 추진 2019.01.11 756 이노베이터  
36 2018 서울시 리모델링형 사회주택 사업공모 공고 file 2018.04.05 801 사무국  
35 HUG, 부산 노후주택 리모델링 '행복둥지' 사업 실시 2018.12.13 807 이노베이터  
34 사회주택 사업자 대상 난곡/난향 도시재생지역 설명회 공동개최 안내 file 2017.12.27 810 사무국장  
33 청년사회주택 홍시주택 둘러보기 2019.08.02 829 사무국  
32 변창흠 교수 “공적임대주택, 공급감소·가격상승 기대가 집값 올려…보유세·거래세 강화해야" 2018.11.23 858 이노베이터  
31 2018년 서울시 사회주택 포럼을 개최합니다. file 2018.10.16 979 이노베이터  
30 [기획기사 스크랩] <기획>일본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재생(4부작) 2018.07.31 1033 사무국  
29 안테나 file 2018.02.11 1043 사무국  
28 국토부시범사업 '위스테이 지축', 젊은 중산층에 통했다 2020.01.22 1043 신아현  
27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19. 8. 6.] 2019.08.06 1086 사무국  
26 [행정안전부 지역사회혁신정책과]지역주민이 공간의 주인이 되는 2020년 지역자산화 사업 본격 추진 file 2020.03.05 1093 신아현  
25 [당당한 공공주택] 손병석 국토부 차관 "지역상생 공동체의 장 만들 것" 2018.07.23 1108 이노베이터  
24 [채용]주거공익법제연구 연구원 채용 공고~9/20(수)까지 2023.09.06 1112 조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