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자립지원 주택 459호로 확대

서울시는 현재 170호 규모인 장애인 자립지원 주택을 2022년 총 459호까지 3배 가까이 늘린다고 밝혔다. 장애인 당사자의 다양한 니즈와 경제적 상황 등을 모두 고려해 각자 필요한 지원을 맞춤형으로 받을 수 있도록 3종의 주택사업을 시행한다. 주택 공급과 주거생활 서비스를 적절히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3종은 ①공공임대주택 입주와 주거생활서비스가 동시에 이뤄지는 ‘공급형 지원주택’(248호) ②거주하고 있는 집에서 주거생활서비스만 받을 수 있는 ‘비공급형 지원주택’(120호) ③지역사회로 정착하기 전 자립생활을 체험해볼 수 있는 중간단계 주거형태인 ‘자립생활주택’(91호)이다. 

공급형 지원주택

우선, ‘공급형 지원주택’은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시작, 작년 한 해 68호를 공급했다. 작년 12월 수십 년 간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했던 발달장애인 32명이 장애인 지원주택에 첫 입주해 독립생활에 들어갔다. 시는 올해 60호를 시작으로 매년 60호씩 확대해 2022년까지 총 248호로 확대 공급한다. SH공사에서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서비스제공기관이 가사(설거지‧분리수거 등), 금전관리(은행업무 등), 투약관리 등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제공한다.

입주대상은 장애인거주시설 폐지로 자립생활이 필요한 장애인과, 독립생활을 위한 주거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서울 거주 만 18세 이상 발달장애인이다. 장애인 지원주택은 현관·욕실 문턱 제거, 안전손잡이, 센서등 리모컨, 음성인식 가스차단기, 핸드레일 등 장애인의 편의시설을 완비한 다세대 주택이다.

비공급형 지원주택

‘비공급형 지원주택’은 본인이 거주하는 집에서 주거서비스만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공급일정과 지역이 제한적인 공급형 지원주택의 한계점을 보완한 것이다. 

2017년부터 2개 자치구(강남‧양천) 26호(자가형 21호, 체험형 5호)에서 시범사업이 추진되어 올해 3월 종료되었고, 4월부터 본 사업이 시작되는데 2개 권역(동남권, 서남권) 40호(자가형 35호, 체험형 5호)에 주거서비스를 지원한다. 2021년에는 3개 권역(동남‧서남‧동북권) 80호, 2022년에는 4개 전 권역(동남‧서남‧동북‧서남권) 총 120호까지 확대한다. ‘비공급형 지원주택’ 중 ‘체험형’은 지역사회 자립을 전제로 단기(3개월~1년)로 공공주택과 주거서비스를 함께 지원받는 사업이다. 거주 이후 개인주택을 확보해 퇴거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며, 생활비 일체를 본인이 부담한다. 주거서비스는 주거관리 및 생활관리 전반에 대한 서비스로, 개인별 욕구에 따라 상시 또는 간헐적으로 제공된다. 주거상담, 일상생활 관리, 의료지원, 심리정서지원 등이 포함된다. 

자립생활주택

2009년 3호를 시작으로 서울시가 선도적으로 추진 중인 ‘자립생활주택’도 올해 5호를 추가 공급하고, 2022년까지 총 91호로 확대한다. 신규로 확보되는 자립생활주택 5개소는 상·하반기 각 1회 사회복지법인과 비영리민간단체를 대상으로 공개모집을 통해 운영사업자를 선정하여 사업이 추진된다. 

‘자립생활주택’은 완전한 자립에 두려움이 있는 탈시설 장애인이 2년 간(최장 4년) 거주하며 자립생활을 체험하고, 사회적응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주택이다. 지원인력의 도움도 받을 수 있다. 지역사회 정착 전 중간 단계의 주거 형태이자, 시설과 지역사회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며 자립에 대한 두려움 해소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문의 : 다산콜센터 120
출처: http://mediahub.seoul.go.kr/archives/1276606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최종 글
공지 2024년 새해 인사말 - 이한솔 협회 이사장 2024.01.16 1278 조직국  
304 서울 천호역 인근에 900세대 규모 역세권 청년주택 생긴다 2018.07.30 135 이노베이터  
303 kbs 9시 뉴스, 청년주거의 대안 사회주택 2018.12.17 135 사무국  
302 주택금융공사, 부산 사회적 기업 대상 주거복지 아이디어 공모전 2018.10.04 136 이노베이터  
301 더함, D3에서 10억원 투자 유치 "사회적 부동산 모델 확산할 것" 2019.03.06 136 이노베이터  
300 부동산 규제 속 수익형 부동산 `셰어하우스`가 뜬다 2018.07.19 138 이노베이터  
299 도시재생리츠 융자한도 총사업비 50%까지 확대…"최장 35년 상환" 2018.08.16 138 이노베이터  
298 “주거 사각지대 없애려면 ‘사회주택’이 널리 확산돼야” 2018.12.03 138 이노베이터  
297 판박이 묻지마 주택공급 이제 그만…"맞춤형 주택을 달라" 2018.12.17 138 이노베이터  
296 김승수 전주시장, 사회주택포럼서 주거복지 정책 소개 2018.11.23 139 이노베이터  
295 박원순 "역세권·유휴지 발굴해 사회적주택 공급 늘리겠다" 2018.07.18 140 이노베이터  
294 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시 사회주택' 포럼 2018.10.30 140 이노베이터  
293 <LH 소셜벤처 창업지원 사업 Sart-up> 안내! file 2018.05.31 140 이노베이터  
292 사회주택법 왜 필요한가 2018.11.26 141 이노베이터  
291 (안내) 2018 사회주택포럼 - 사회주택 전국적 확산을 위한 정책방안 모색 file 2018.11.12 142 사무국  
290 청년생각, 2018 사회적주택 운영기관 선정 2018.07.26 143 이노베이터  
289 박원순 "공공주택 공급은 분양 대신 매입형임대주택·사회주택" 2018.10.22 143 이노베이터  
288 현황과 전망 2019.05.20 143 사무국  
287 주거복지연대 file 2018.01.14 144 사무국  
286 박원순 "정부 요구보다 많은 주택 8만호 공급하겠다" 2018.12.19 144 이노베이터  
285 셰어하우스 5년새 37배 성장… '맞춤형' 상품도 눈길 2018.09.12 145 이노베이터